
서울 평양냉면집 4대 천왕을 아시나요?
우래옥, 필동면옥·을지면옥, 봉피양, 을밀대 슴슴한 육수로 즐기는 평양냉면
평양냉면은 이북서 즐기던 겨울음식이다. ‘꽁꽁 얼은 김칫독을 뚫고 살얼음이 뜬 진장 김칫국에다 한 저(箸) 두 저 풀어먹고 우르르 떨려서 온돌방 아랫목으로 가는 맛!’(《별건곤》 제24호)으로 먹는 음식이었다.
평양냉면은 이북서 즐기던 겨울음식이다. ‘꽁꽁 얼은 김칫독을 뚫고 살얼음이 뜬 진장 김칫국에다 한 저(箸) 두 저 풀어먹고 우르르 떨려서 온돌방 아랫목으로 가는 맛!’(《별건곤》 제24호)으로 먹는 음식이었다. 1920년대에 제빙기술이 발달하면서 냉면은 여름에도 즐기는 음식이 됐다. 남한에 이북의 평양냉면이 뿌리내린 것도 이 시기다. 실질적인 남한의 평양냉면 역사는 1940년대 을지로 4가에 개업한 ‘서래관’에서 시작한다. 그 뒤를 이은 게 1946년부터 지금도 영업중인 ‘우래옥’이다. 동대문과 을지로 일대는 당시 이북 출신들의 경제적 터전이었다. 실향민의 향수를 달래주던 평양냉면은 변변한 외식업이 없던 시대의 강자로 부상해 시대를 풍미했다. 쟁쟁한 평양냉면 전문점들이 생겨난 건 1970년대다. ‘평양냉면 4대 천왕’이라고 하는 ‘필동면옥’, ‘우래옥’, ‘을지면옥’, ‘장충동 평양면옥’ 외에도 ‘을밀대’, ‘평래옥’ ,‘강서면옥’, ‘남포면옥’ 등이 지금도 경쟁중이다.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평양냉면 명가 우래옥
‘우래옥’은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평양냉면집이다. 1946년 문을 열었으니 벌써 65년째다. 남한 냉면의 실질적 시작이 된 냉면집 ‘서래관’의 동업자였던 고(故) 장원일씨가 평양냉면 기술자를 데려와 차린 식당이다. 실향민과 그들의 자손들이 대대손손 찾아 예나 지금이나 그 명성이 다르지 않다.
고(故) 장원일씨의 뒤를 이어 교사였던 아들 장진건씨가 가업을 물려받았다.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꿈꿨던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미국 뉴욕, 시카고 등에 분점을 차리기도 했다. 본점 주교점은 그의 아내와 둘째딸이, 대치동 분점은 그의 큰아들 근한씨가 맡고 있다.
|
|
면은 100% 메밀을 사용한 순면과 전분을 살짝 섞은 전통평양냉면 두 가지로 맛볼 수 있다. 거친 순면이 아니어도 이 집 면은 메밀 함량이 높다. 전분가루가 없으면 메밀은 끈기가 없어 잘 흩어지는데 반죽을 할 수 있을 정도만 전분을 넣는 집이다 보니 면이 젓가락으로 들면 잘 끊어진다. 차가운 육수에선 그나마 탄력이 있는 편이지만 온면 같은 뜨거운 육수에선 확 풀어질 정도다. 하지만 그 까칠하고 퍼진 느낌이 오히려 좋다.
고명은 계절따라 조금씩 다르다. 여름철엔 편육 위에 절인 오이와 김치겉절이를 올리는데 그 맛이 아삭하고 새큼하다. 뜨거운 국물을 말아낸 온면은 고명이 파, 삶은 달걀 등이 오른다. 따뜻한 고기국물에 참기름 고소한 향이 가득하다. 비빔냉면도 웬만한 함흥냉면 전문점보다 나은 맛이다. 맛에 대한 평가는 후해도 못가겠다는 사람들이 많다. 냉면 한 그릇 값이 11,000원, 순면은 12,000원이다. 가격 부담이 커 자주 드나들긴 어렵다.
냉면은 가장 만들기 어려운 음식이라고 한다. 면이 알맞게 삶아져 끈기와 탄력이 살아있어야 하고 육수는 간이 딱 맞아야 해서다. 그러고 보면 우래옥은 ‘또 찾아오는 집’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그 맛을 인정받고 있는 집이 아닌가 싶다. 흔들림 없이 이어져 온 긴 세월이 그 방증일 터다.
주소 서울시 중구 주교동 118-1
전화 02-2265-0151
메뉴 평양냉면비빔냉면 11,000원,
온면 11,000원
영업 11:30~21:30(월요일 휴무)
주차 가능
|
|
|
|
|
을밀대 육수는 소뼈와 무, 배, 파, 마늘 등으로 맛을 낸다. 영하 30도에서 얼려 반쯤 녹인 육수는 더위를 물리치는 데 효과적이다. 면은 메밀에 고구마 전분을 7:3 비율로 섞어 쓴다. 냉면 맛도 좋지만 수육과 녹두전도 평이 좋다. 을밀대의 녹두전은 녹두보다 고기가 많다. 녹두의 고소한 맛보다 고기 씹는 식감을 더 살린 전이다. 숙주도 없이 돼지기름으로 부쳐내 구수한 맛이 더하다. 수육은 차돌양지여서 부들부들하다. 얇게 썰어 물기가 촉촉한데 수육 위에 올려진 파채로 고기를 싸서 양념장에 찍어먹는다. 지인들과는 이 맛을 “소주를 부르는 맛”라고 부른다.
몇 년째 드나들다보니 아쉬운 점도 보인다. 육수 맛이 기복이 심하다. 맛의 변화가 재료나 손맛 어디서 왔든 전통의 맛이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소 서울시 마포구 염리동 147-6
전화 02-717-1922
메뉴 물?비빔냉면 9,000원, 회냉면 12,000원,
녹두전 8,000원, 수육 25,000(小)~50,000원(大)
영업 11:00~22:00(명절 휴무)
주차 가능
<김미영> 글,사진15,120원(10% + 5%
)
“다큐멘터리 「누들로드」가 세계전도였다면, 『대한민국 누들로드』는 국수의 대동여지도다.” -이욱정 KBS스페셜 「누들로드」 PD 우리나라 전국 팔도를 여행하면서,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면 여행은 두 배로 즐거워진다. 특히 간단하고, 부담 없이 그 지역의 별미 국수를 먹을 수 있다면? 1석 2조, 환..
.
주목! 투데이 포커스
집밥으로 면역력도 챙기세요!
지금은 마음껏 꿈 꾸어야 할 시간
인간답다는 것이 무엇이며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가
함민복 시인의 강화도 살이 10여년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에세이집